더보기
트랜지스터 논리게이트 진리표 논리회로 플립플롭 가산기 레지스터 시스템버스 클록 인스트럭션 어셈블리어
01장 CPU
02장 운영체제 - 프로세스와 스레드
03장 운영체제 - 메모리
04장 프로그래밍 언어, 컴파일러
05장 변수, 정수, 실수, 문자열
06장 함수
07장 객체지향
08장 클래스
09장 자료구조 1
10장 자료구조 2
11장 알고리즘
12장 네트워크
13장 데이터베이스
트랜지스터
전기로 ON/OFF 할 수 있는 스위치

논리 게이트
트랜지스터를 여러 개 모아서 만듦
Bool 함수를 구현하기 위한 것
진리표

연산 장치
논리 게이트를 모아서 만드는 계산 장치 (논리 회로)
조합 논리회로 | 순차 논리회로 | |
특징 | 현재 입력에 의해서만 출력이 결정된다. | 현재 입력 + 과거 출력에 의해 출력이 결정된다. (예전 출력값이 유지(저장) 된다는 의미) |
태그 | 기본 논리 게이트 | 플립플롭 순차 회로의 기본 요소로, 1비트의 정보를 보관/유지한다. 예전 출력값 유지를 위해 전기 신호가 계속 공급되어야 정보 유지 가능 '저장'하기 때문에, 메모리 소자라고도 불린다. 레지스터는 플립플롭의 묶음 |
가산기 ALU 안에 있는 논리 게이트 ![]() |
레지스터 CPU 안의 메모리로, 종류와 쓰임새가 다양하다. - PC(Program Counter): 다음으로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 저장 - IR(Instruction Register): 읽어온 명령어를 저장 - EAX(Accumulation): 산술연산의 변수값 저장, 함수의 return 값 - EBX(Base Register): 산술연산의 변수값 저장 |
CPU

- 시스템 버스 :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로
- 클록
- CPU 혹은 프로세서 속도의 지표, 명령어 한 사이클
- 펄스 상승 때 인스트럭션 실행

- 인스트럭션 (instruction) : 우리가 작성한 코드가 CPU에서 실행되기 위해 최종적으로 변환된 기계어 명령어 (0101110010... 같은 거)
- 인스트럭션 세트 : CPU가 인식해서 실행할 수 있는 기계어 (CPU 제조사마다 다름)
- 어셈블리어 : 기계어를 사람이 읽을 수 있도록 1:1 대응한 문자 상태의 명령어
- GPU (graphics processing unit) : 그래픽 처리 장치
'스터디 노트 > 컴퓨터 과학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컴퓨터과학 기초 > 05장 변수/정수/실수/문자열 (0) | 2022.04.02 |
---|---|
컴퓨터과학 기초 > 04장 프로그래밍 언어/컴파일러 (0) | 2022.02.26 |
컴퓨터과학 기초 > 03장 운영체제 - 메모리 (0) | 2021.11.24 |
컴퓨터과학 기초 > 02장 운영체제 - 프로세스와 스레드 (0) | 2021.11.24 |